본문 바로가기

삶과 신앙/공돌이, 직장인, 그리스도인

하드코어 엔지니어

중학교 읽었던, 상대성 이론을 쉽게 설명한 교양서적 권을 저는 아직도 잊지 못합니다. 손바닥보다 조금 크기의, 아주 짧고 쉬운 책이었는데 저는 책을 번씩 다시 읽으며 흥분했었습니다. 사물의 근본을, 세상의 이치를 밝혀내는 물리학에 저는 완전히 매료되었습니다. 많은 사람은 제가 아버지를 따라 의사가 것으로 생각했지만, 저는 의사가 아닌 이공계를 택했습니다. 물리학자가 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제가 졸업했던 대학은 1학년을 마치고 2학년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하는 시스템을 택하고 있었습니다. 말하자면 제가 원하는 전공을 마음대로 선택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그렇게도 하고 싶었던 물리학을 선택할 없었습니다. 그것은 제가 아인슈타인과 같은 천재가 아님을 깨달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제가 꿈꾸었던, 세상의 근본적인 원리를 파헤치는 그런 위대한 학자가 자신이 없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렇게 생각했던 모든 생각이 미숙한 것이었지만, 당시엔 나름대로 심각하게 고민한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나마 물리학과 매우 가까워 보이는, 그러나 순수과학 아닌 공학 범주에 드는 전공을 선택했습니다. 그렇게 공학을 선택하면, 최고가 되지 않더라도, 밥을 먹고 같다는 생각해서 결정한 나름의 타협이었습니다.

그렇게 선택한 재료공학은 제게 매우 재미있는 학문 분야였습니다. 열심히 공부했고, 성적도 좋았습니다. 그렇지만, 제겐, ‘순수과학 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랄까 그런 것이 계속 남아 있었습니다. 그래서 박사 과정 지도교수를 정할 때도 지나치게 실용적인 연구를 하는 실험실보다는 자연과학적 원리를 파헤치는 실험실을 택했습니다. 박사과정을 하는 중에도 원리를 파헤치는 것에 대한 강박은 계속 되었습니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내용으로 박사과정을 마무리할 있는 것을 포기하고 중간에 논문 주제를 바꾸어 가면서까지 현상에 대한 과학적 이해 몰입했으니까요. 제게 있어 공대에서 박사과정을 하는 것은, 안정적인 밥벌이를 있는 환경 속에서 순수과학을 하는 적절한 타협이었던 것입니다. 이러한 생각은 실리콘 밸리에서 하드코어 엔지니어들을 만나면서 철저하게 깨어졌습니다.

제가 일하는 그룹의 디렉터는 미국의 스쿨 박사입니다. 사람의 주도 아래, DVD+RW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학력으로나 경력으로나 소위 스펙 좋은 사람이지요. 디렉터인만큼, 아무래도 행정적인 일들을 많이 다루어야 합니다. 높은 사람들과 회의도 많이 있고요.  어느 퇴근시간이 훨씬 지난 시간에 실험실에 들어가 보니 사람이 열심히 실험을 하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열중해서 여러 샘플들을 측정하고 있는 그에게 제가 그러고 있느냐고 물어보았습니다. 그러자 그의 대답은 이랬습니다.

 오늘 온종일 높은 양반들과 회의를 하느라 몸과 마음이 피곤해. 정말 지루한 회의를 하느라 지겨워서 혼났어. 그래서, 하루 일과가 끝나고, 내가 정말 좋아하는 일을 조금이라도 하다가 집에 가야 스트레스가 풀릴 같아서 말이야. , 아까 네가 이야기했던 고장 실험장비 있지? 내가 그거 손봤어. 이제 거야.”

사람에게 있어 실험은 스트레스 해소를 하는 즐거운 이었던 것입니다.

저희 그룹에는 이런 사람들로 가득 있습니다. 자기 돈으로 몇백 하는 전자제품을 사서 분해를 후에 새롭게 알아낸 것을 나누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대학 때부터 자동차에 관심이 많아 전기 자동차를 자기 손으로 직접 디자인해서 만들어본 사람도 있습니다. 자기 집에 공작실(machine shop) 두고 필요한 샘플을 자기 돈으로 만들어와서 회사에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 정말 뼛속 깊숙이 공돌이들/공순이들 입니다!

이렇게 열심히, 열정적으로, 그리고 재미있고 신나게 일하는 우리 그룹 사람들에게 그렇게 열심히 일하느냐고 물어보면 이들은 한결같이, 자신이 개발한 기술이 세상에서 쓰이는 신나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물론 여러 가지 필요 때문에, 논문을 쓰는 일을 하기도 하고, 학회에 참석도 합니다. 저희 그룹에도 학계에서 이름이 알려진 유명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에게 있어 일하는 가장 커다란 동기는 발명(invention)입니다. 발명 자체가 재미있고 신나는 일이라는 것입니다.

제가 열심히 배우고 다른 이들과 나누었던, 창세기의 문화명령에 근거한, 소위 기독교 세계관 따르면 우리가 땅에서 하는 가운데 많은 일은 하나님의 창조활동에 동참하는 일입니다. 피조세계를 다스리라는 명령 속에서 하나님께서는 우리 인류에게 피조 세계 안에서 하나님의 대리자(agent) 되어 창조활동을 하라는 의미를 담으셨다는 것입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자유롭게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세상에 만들고자 하는 하나님의 창조의지는, 그런 기술을 개발하여 발명하고 제품으로 만들어내는 저와 같은 엔지니어의 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대학 때부터 그렇게 열심히 기독교 세계관 스터디도 하고, 책도 읽고, 친구들과 열띠게 토론도 하고, 그렇게 살게 해달라고 기도도 했었는데, 막상 크리스천 엔지니어로 사는 제가 그것을 삶의 현장에서 충분히 깨닫고 누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무언가 순수과학에 대한 막연한 헛된 동경에 사로잡혀, 그리고 기술을 개발해서 세상에서 쓰이게 하는 것이라는 공학의 원래 의미를 잊어버려, 그저 논문 쓰고 학회 가서 발표하고, 이름 내고 유명해지는 것에 목매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논문 쓰고 학회 가서 발표하는 것이 나쁘다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적어도 엔지니어 대다수가 직업활동의 핵심과 목표로 삼을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제가 하는 일의 의미를 재발견한 이후, 저는 열심히 일할 이유가 생겼습니다. 원래 하나님께서 창조 때부터 마음에 두셨던, 피조세계에 하나님의 선한 창조가 가득 차게 되는 , 그리고 예수의 삶과 사역과 죽음과 부활로 말미암아 구체화한 창조(new creation) 땅에 구현하는 하나님의 대리인으로서 자신을 보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아직 제가 직장 생활 속에서 그것을 구체적으로 구현해나가는 일에는 많은 실제적 어려움도 있고, 여러 가지 유혹도 있습니다. 회의가 있기도 하고,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아 보일 때도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매일 직장 생활 속에서 그것을 배워가며, 지금 시점에 미국의 실리콘 밸리에서 그리스도인 엔지니어가 된다는 것의 의미를 발견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매우 흥분되도록 신나는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