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과 신앙/양혜원의 여성과 삶

[양혜원] 유진 피터슨 읽기 (6) 한국 목회의 남성 중심성

이 글은 지난 6월에 청어람에서 했던 유진 피터슨 읽기에 대한 강의를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저는 14년째 기독교 서적을 전문으로 번역하고 있는 번역가 양혜원입니다. 제가 번역한 유진 피터슨의 책은 공역을 포함해서 총 8권입니다. 나열해 보면, 「교회에 첫발을 디딘 내 친구에게」(The Wisdom of Each Other), 「거북한 십대 거룩한 십대」(Like Dew Your Youth-Growing up with your Teenager), 「현실, 하나님의 세계」(Christ Plays in Ten Thousand Places)(공역), 「이 책을 먹으라」(Eat This Book), 「그 길을 걸으라」(The Jesus Way), 「비유로 말하라」(Tell It Slant), 「부활을 살라」(Practise Resurrection)(공역), 그리고 가장 최근작으로 「유진 피터슨: 부르심을 따라 걸어온 나의 순례길」(The Pastor: A Memoir)입니다. 저는 학자도 아니고 목사도 아니고, 그냥 번역가일 뿐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한 저자의 글을 자신의 모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생각하게 되는 몇 가지의 것들을 번역가 입장에서 다루어 본 것입니다.


6. 한국 목회의 남성 중심성

이제 마지막으로 저는 한국의 목회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피터슨은 목사입니다. 그의 저술과 번역은 다 목회 활동의 하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목사의 목사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가 했던 목회를 한국 사회에서 실현하기는 참으로 어렵습니다. 앞에서 이야기했던 한국 사회의 특징 때문이기도 하지만, 또 한 가지 제가 꼽는 이유는 바로 한국 목회의 남성 중심성입니다.
「이 책을 먹으라」에서 피터슨은 캐슬린 노리스의 이 글을 인용합니다. “나는 진정한 일상의 신비가는 격리된 채 거룩을 관상하는 사람들, 고요한 침묵 가운데 신과 같은 깨달음에 도달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소음으로 가득 찬 삶, 자신을 소진시키는 다른 사람들의 요구와 끝도 없는 의무들로 가득 찬 삶 속에서 하나님을 발견해 내는 삶들이라고 믿게 되었다.”(188쪽)

이것은 바로 여성의 삶을 묘사한 것입니다. 끊임없이 엄마를 부르며 이것저것 요구하는 아이들, 세탁, 요리, 청소 등으로 늘 분주하게 움직여야 하는, ‘살림’을 하는 여성의 삶입니다. 그런데 한국의 목회는 남자들의 잔치입니다. 유교 문화는 남자와 여자를 엄격하게 구분합니다. 남자들의 세계와 여자들이 세계가 분리되고, 여자들의 세계는 남자들의 세계에 가려지고 종속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일은 다 남자들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사는 일상의 대부분의 일은 여자들의 세계에서 일어납니다. 여자들은 인격적인 관계를 맺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돌봄 노동의 태반을 여자들이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목회 현장에 여자들이 들어올 때는 철저하게 유교적인 방식으로 들어옵니다. 여자들은 늘 뒤에서 거드는 일을 할뿐 자신의 경험을 목회에 통합시키지 못합니다. 일상과 인격이라고 하는 것이 목회 안에 자연스럽게, 피터슨의 표현대로 하면,유기적으로 하나가 되는것이 아니라, 목회와 삶이 따로 놉니다.

「현실:하나님의 세계」에서 피터슨은 자신의 ‘임신’ 체험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418-419쪽) 무슨 말이냐 하면, 자신이 첫 손자를 볼 때, 아내와 주변 사람들은 다 흥분하며 기다리는데,자신은 아무런 감흥이 없었다고 합니다. 이미 자기 자식을 세 명이나 낳았는데, 이번이라고 뭐 특별히 다르겠나 싶었다지요. 자신만 너무 감흥이 없는 게 좀 그래서 아내에게 그 이야기를 했더니, 아내가 “그건 당신이 임신해 본적이 없기 때문이에요.”라고 했답니다.
이 말 앞에 남자는 벽을 느낍니다. 생물학적으로 임신을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피터슨이, “아니, 그럼 나더러 어쩌라는 거냐?”라고 했더니, 아내가 요람을 하나 만들어보라고 했답니다.
그래서 그는 도서관에 가서 요람 사진책을 찾아서, 원하는 디자인을 골라, 스케치를 하고, 목공소로 가서 꼼꼼하게 목재를 고른 후에, 교회 마치고 집에 오면 매일 한 시간씩 요람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는 사포로 거듭 문지르고, 수세미로 다듬고, 여러 차례 동유를 바르고 했지요. 일일이 모양내고, 다듬고, 문지르고 또 문지르면서 그는 그 요람에 누울 아기를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이 드디어 임신 체험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여자들은 출산 이전에 열 달이라는 임신 기간을 통해서 그 생명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상상력으로 품습니다. 그러나 남자 입장에서는 하룻밤 자고 난 것이 전부인데, 자식이 생기지 않습니까? 피터슨은 요람을 만드는 기간이 자신에게는 여자의 임신 기간과 같은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그 요람에 누워 자라 갈 아기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점점 불러오는 며느리의 배에 있는 그 생명에 대한 감사와 기대가 생긴 것이지요.

피터슨의 이 이야기는, 목회 안에 생명과 인격과 일상이 들어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좋은 은유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한국의 목회가 남성 중심성에서 벗어나야 저는 인격성과 일상성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피터슨의 글을 보면 여성의 경험을 자신의 글에 많이 녹여낸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으로 남성이냐 여성이냐 보다는 어떠한 경험들을 자기 삶으로 가져오느냐가 중요합니다. 인격적 관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일치의 삶, 그리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것, 이러한 것들이 자리 잡을 수 있는 토양을 가장 잘 가꿔주는 경험이 남자냐 여자냐를 떠나 중요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