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째 원고에서 저는 여러분들에게 북한이탈주민들의 고향 땅에 대한 소개와 남한 입국 현황을 말씀 드렸습니다. 오늘은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에 입국하기까지의 여정과 외상 경험에 대해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입국 경로는 시기 및 정치 사회적인 이슈에 따라 변화하였습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제3국 체류 실태는 조사 기관에 따라 다양합니다. 아직까지 제3국 북한이탈주민 규모에 대한 한국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는 없었으나 유관 기관에서는 대략 2~3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HCR, 2003)은 10만 여명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그들이 은둔, 도피 생활을 하기 때문에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따라서 이러한 편차가 나타납니다.
본문에서는 제3국 체류 규모를 논하기 보다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입국 여정과 그 과정에서의 외상 경험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안정된 국가로 입국하기 까지의 여정은 <그림 1>과 같습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남북한의 군사분계선의 육해로을 넘어 오는 경우는 극히 소수이며 제3국을 통해 입국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들은 북한과 중국의 국경지역인 함경북도를 경유하여 연변에 도착하게 됩니다. 북한과 중국의 국경 인접 지역은 자강도, 양강도, 평안북도가 있으나 조선족 사회의 유입요인으로 인하여 함경북도 출신이 북한이탈주민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07년 이전에는 중국 공민증을 위조하거나 재중 한국 영사관 및 국제학교 등에 진입하여 신변보호를 받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의 한국 출국이 늦어지면서 베트남 및 캄보디아 등을 경유하여 태국을 통하여 한국으로 입국하는 사례가 많아졌습니다. 이들이 한국으로 오기까지 목숨을 걸고 3-4개 이상의 국경을 넘습니다. 이 과정에서 혼자 올 수 없기 때문에 브로커의 도움을 받게 되며, 대체로 브로커 비용은 한국 입국 이후 지불하게 되며 300만원에서 1,000만원 선까지 다양합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 사회, 탈북하는 과정, 중국 및 제3국 체류과정에서 많은 외상을 경험합니다. 이때 외상 경험이라 함은 개인의 생활 및 신체적 보전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외상 사건은 개인뿐만 아니라 자녀, 배우자, 친척, 친구들에 대한 위협을 포함합니다. 즉, 심각한 상처, 죽음을 목격하거나 죽을 뻔한 경험을 하였는지가 이에 해당합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외상 사건은 크게 북한 및 제3국 체류 기간 동안 겪은 것으로 구분합니다. 실제로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에서 생활하면서 이미 정신적 충격을 경험한 경우가 많고, 탈북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었기 때문에 이 문제는 중요한 사안입니다. 또한 한국 입국 이후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그들이 받았던 외상 충격이 계속적으로 재경험되기 때문에 초기 예방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경험한 외상은 수년이 지난 과거 사건이지만 현재의 삶에 영향을 미쳐 일상생활, 직장생활, 가정생활까지 지장을 주게 됩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북한 내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외상은 가족, 친지, 가까운 이웃 중에 굶어 죽는 것을 목격하거나 소식을 듣는 것으로, 817명(68.1%)에 해당됩니다. 다음으로 추위나 식량 부족으로 인한 생명의 위협(58.2%), 가족과의 생이별(56.2%), 아는 사람의 공개 처형을 직접 목격함(42.8%) 순입니다. 탈북 여성의 경우 북한에서 원치 않는 결혼을 했거나 인신매매를 당함, 심한 성적 모욕이나 강간을 당했다는 경우가 남성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습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탈북 과정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외상 사건은 가족과의 생이별(46.8%)이었고 체포나 강제 북송의 경험이 있거나, 거의 그럴 뻔한 위험에 처한 경우(45.5%), 총격이나 추격을 받은 경험(27.5%), 예상치 못한 배신 경험(25.1%), 강제 결혼이나 인신매매 경험(22.8%), 수용소, 교화소나 감옥에 간 경험(21.8%) 순입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10여명 중 3명 가량이 원하지 않는 강제 결혼을 했거나 인신매매를 당하였습니다.
외상 경험으로 인해 심리적인 증상이 생기는 것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합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정의는 강간, 심한 폭행, 자연재해(홍수, 지진, 폭풍), 뜻밖의 재해(자동차 사고, 비행기 추락, 대형 화재, 해상 사고), 인공 재해(폭격, 고문, 수용소, 인질) 등 생명의 위협 및 정신적 충격으로 심리적·신체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외상후 스트레스 유병율은 연구에 따라 다릅니다. 강성록(2000)은 27.37%, 홍창형 등(2004)은 29.5%, 윤여상 등(2007)은 26.15%, 서주연(2006)은 45.1%, 국경없는 의사회(2005)는 18.2%, 김병창 등(2010)은 8.7%로 보고하였습니다. 이러한 유병율 차이는 연구대상자의 크기와 집단 특징, 진단 도구, 거주기간 등이 원인입니다.
그러나 다행스러운 것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가 해외 난민과 달리 남한거주 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자연 치유된다는 사실입니다(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홍창형, 2005)<그림 2>.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외상 후 성장 및 회복력(탄력성)이 강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정착 초기가 그들의 삶의 방향을 정하는 시기이니 만큼 초기 예방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이렇게 북한이탈주민들의 탈북 여정과 외상 경험을 정리하니, 죄송한 마음이 듭니다. 학자로서 그들의 경험을 짧은 도표와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지만, 그들의 삶은 결코 짧지도 간단하지도 않습니다. 다시 생각하고 싶지 않고 말하고 싶지 않고 말로 표현할 수도 없는 고통의 순간 순간이기에 경험하지 못한 저로서 언급한다는 것이 죄스럽기만 합니다.
상담 후 내담자인 북한이탈주민께서 제게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선생님은 결코 저를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라고요. 그렇습니다. 그때는 그 말씀이 다소 서운했지만, 이제는 “그렇습니다. 저는 모르지만 그 때 그 자리에서 주님은 당신과 그 고통을 모두 당하시고 함께 하셨습니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선교 전략 > 유시은이 만난 북한이탈주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시은] 나는 그녀를 친구라고 생각하고 그녀는 나를 선생님이라고 부른다 (0) | 2011.12.21 |
---|---|
[유시은] 첫 만남: 북녘 땅 (1) | 2011.11.11 |
[유시은] 북한이탈주민, 그들은 어디에 (0) | 2011.10.19 |
[유시은] 북한이탈주민,하나님께서 주신 선물:만남 (2) | 2011.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