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과 신앙/차문희의 크리스천 교사 리포트

[차문희] I have a dream

이코스타 2003년 2월호

"I have a dream that one day this nation will rise up and live out the true meaning of its creed: "We hold these truths to be self-evident: that all men are created equal."" by Martin Luther King Jr

해마다 1월이 되면 저는 학교에서 사회 시간에 Martin Luther King 목사님에 대해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1월 달에 그 분을 기념하는 날 즉 1월의 세 번째 월요일이 되기 전 주에는 항상 이 분에 대한 전기문을 읽고 그 분의 생애에 대한 이야기들을 나누며 인권 운동 (Civil rights movement) 과 인종 갈등 (racism)에 대한 이야기들을 나누게 되는데 이 때 장애 (disability)에 대한 이야기들도 함께 나누는 시간들을 갖게 됩니다.

제가 살고 있는 미국의 남부 지방은 아직도 보수적인 생각들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가 솔직히 믿기는 어렵겠지만 인종 갈등이 아직도 역사의 흔적을 감추지 못 한 채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아이들끼리 노는 모습들을 지켜 보아도 흑인 어린이들은 백인 어린이들과 함께 뛰어 노는 경우가 드물고 수업 시간에 그룹 프로잭트 할 때도 백인 어린이와 흑인 어린이가 함께 파트너가 되는 일 역시 아주 드문 상태입니다. 그리고 저야 동양 사람이고 원래 이 사람 저 사람 좋아하는 스타일이다 보니 여러 동료 교사들과 친하게 지내려고 하지만 흑인 교사들과 백인 교사들이 학교의 일 이외에 개인적으로 친하게 지내는 경우 또한 찾아 보기 힘들고 심지어 하나님 앞에 우리 모두가 똑 같은 자녀라고 이야기 하는 기독교인들도 예배의 형식이 달라서 그런가 흑인 교회와 백인 교회가 나누어 져 있다는 사실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Martin Luther King목사님은 제가 살고 있는 조지아 주에서 태어나셨고 직접 몸으로 인종 차별의 아픔과 서러움들을 체험, "인간의 평등성" 을 강조 하신 분으로 유명하며 오늘날 흑인 역사의 중요한 인물로 손 꼽히는 분의 한 사람입니다. 이 분이 생존하셨을 때 당시 미국의 상황은 흑인들과 백인들은 분리된 생활을 하였고, 즉 흑인들은 피부색이 검다는 이유로 많은 차별을 받았으며 사회의 천대와 명시를 받고 살았습니다. 그리고 베트남 전쟁으로 인하여 상처를 입고 돌아온 많은 사람들에게 어떤 정부의 특별한 해택과 배려가 없었다고 합니다. Martin Luther King 목사님의 인권 운동은 인종 갈등해소에만 그치지 않고 베트남 전쟁이나 심지어 한국 전쟁에서 부상을 당한 상이 용사들의 인권 문제,, 즉 전쟁터에서 얻은 장애가 생겨서 돌아온 이들을 위한 사회 복지 문제로 바뀌게 된 것 입니다. 이 사회 복지 문제 중에 하나가 바로 장애인들의 교육과 사회 참여라고 볼 수 있습니다.

1973년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라고 하는 법이 미국에 정해 지면서 상이 용사들이나 모든 장애인들도 한 인간으로써 사회에서 보통 사람들과 같이 똑 같은 권리를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고 규정하고 1975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Act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그들의 장애에 상관없이 그들에게 맞는 공 교육 (public education)을 받을 수 있다고 규정했습니다. 1990년 American Disability Act가 정해 지면서 미국의 공공 장소에 장애인들의 편의 시설을 제공했으며 1997년 Individual with Disability Act를 통해서 특수 교육 프로그햄이 체계화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미국 역시 장애인들에 대한 교육이 발달 된지 그렇게 오래 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올 해도 역시 아이들과 Martin Luther King목사님과 인권 운동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과연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은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 토론의 시간을 가져 보았습니다. D라는 한 아이가 손을 번쩍 들고 이야기 합니다. "Ms. Cha도 우리와는 다른 피부색을 가졌고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자라 미국에서 공부하고 교사가 되어서 우리들을 가르치는데요, 저는 아직도 미국에 특히 제가 사는 지역에 인종 차별 뿐만 아니라 다른 차별이 있다고 생각해요." 저는 다시 질문 했습니다. "아니 그게 무슨 소리니? 또 다른 차별이라니?" 그 학생은 다시 이야기 합니다. "우리들에 대한 차별이요, Ms. Cha의 학생들에 대한 일반 교사들과 일반 학생들에게서 받는 따돌림, 그거 알아요?" 순간 저는 할 말을 잃었습니다. 아니 미국의 특수 교육 프로그램이 잘 되어 있고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이 다른 나라들 보다는 좀 나은 것 같았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 그는 다시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우리는 특수 학급에 오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을 우리를 약간 모자라거나 좀 바보로 알고 있어요. 우리들에 대해서 잘 모르면서 - - -- - 그냥 특수 학급에 있다는 그 자체만으로 우리들을 "dummy"라고 하는데요, 뭐, 사실, 그래서 공부 하는 그 자체가 너무 싫어요."

아이들에게도 선입견, 편견의식은 상처와 좌절을 불러 일으키는 것 같습니다. 단지 "흑인", "히스패닉", "장애인" 이라고 붙여진 이름 (label) 때문에 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따가운 시선을 받으면서 살아가야 합니다. 인간의 인격과 능력 보다는 그 사람의 피부 색깔, 또 가난하고 힘들었던 과거의 역사와 불행했던 환경 때문에. 몸이 불편하고 학습 적인 능력이 다른 아이들에 비해 떨어 진다는 그릇된 생각들 때문에 아직도 소외된 이웃들은 우리 주위에 많이 있습니다.

Martin Luther King목사님에 대한 토론을 하면서 아이들은 또 이런 이야기들을 합니다. "우리들은 하나님 앞에 그 사람의 피부 색이나 어떤 장애에 관계 없이 모두 평등하다고 믿고 있으나 단지 그것은 우리들의 생각 뿐이에요. 하지만 현실은 그와는 반대인 것 같아요. 아직도 우리 사회에 남아 있는 편견의식은 변하지 않는 것 같아요. " 즉 아이들의 눈에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과 실제로 행동하는 것은 매우 다르다는 지적입니다. 이 말도 틀린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 말로는 "더불어 사는 사회 건설"을 위해서 노인, 장애인, 여성 복지, 소수 민족에 대한 적극적인 배려를 부르짖고 있지만 우리의 일상 생활은 아직도 알게 모르게 인종 갈등과 빈부 격차, 그리고 편견의식이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에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문화란, 각 나라의 생활 습관만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의 각자가 지니고 있는 다른 생활 문화를 의미 합니다.)

우리들이 각 자 서로가 다른 문화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이해하고 그들을 있는 그대로 우리 삶에 받아들이며 그들의 아픔을 우리와 함께 할 때, 또한 소외도어 있는 이웃들 역시 그들의 아픔을 고난의 순간들로 바라보지 말고 오히려 꿈과 희망을 갖고 은혜의 통로로 바라보게 될 때 "더불어 사는 사회" 는 이루어 진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더불어 사는 사회 건설"은 소외되지 않은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하나가 되어 Martin Luther King 목사님의 말씀에 담겨져 있는 미래에 대한 꿈 (dream)을 꾸며 만들어 가는 밝은 사회를 의미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