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타 사역

[코스타 보이스 - 2008 서평] 교회, 공동체, 소그룹 개인의 구원의 확신을 강조하는 복음주의권에서는 교회에 대한 의미에 대해 경시하는 문제가 있다. 교회는 개인의 구원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조직일 뿐인가? 아니면 그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하워드 스나이더, , 생명의말씀사 개인의 구원과 공동체적 구원이 특별한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견해와 공동체는 개인의 구원을 도와주는 보조적 역할에 그친다고 보는 견해는 그다지 성경적이지 못하다. 왜냐하면 성경에서 말하는 구원은 '하나님의 백성'에서 '하나님의 자녀' 그리고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의 공동체가 그 일차적인 주어이기 때문이다. 물론 개개인은 예수 그리스도와 인격적인 관계를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 또한 공동체로 부르심에 응답한 결과로, 공동체의 일원으로 얻는 공동체적 변화라는 것을 인정해.. 더보기
[코스타 보이스 - 2008 기획기사]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예수님의 모범 - 십자가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나라를 자신과 동일시했음을 생각할 때, 예수님의 삶과 죽음이 하나님의 나라의 개념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나님 나라를 설명하는 'already, but not yet'이라는 개념은 하나님 나라를 묘사하는 하나의 측면이지 그 개념을 적극적으로 정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개념에 집어넣을 어떤 요소들을 찾아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삶, 가르침, 죽음, 부활이 그런 요소 중의 중요한 것일 것이다. 그 중에서 하나님 나라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보다도 예수님의 십자가에서의 죽음일 것이다. 십자가가 예수 그리스도의 삶, 가르침, 죽음과 부활, 이 모든 사역 속에 중심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 십자가의 죽음을 설명하는 이론들이 하나님의.. 더보기
[코스타 보이스 - 2008 사설] 이 시대에 바른 길로 "성공과 생존을 위한 모든 노력이 정당화되고 칭송되었고 현실을 극복해내는 이상과 물질 이상의 것을 추구하는 숭고한 가치, 그리고 그것을 배우고 가르치는 일은 조롱거리가 되어 버리고 있다. 어느 때보다 풍요롭다고 하지만, 그 어느 때보다도 두려움에 사로잡혀 이리저리 끌려다니며 참된 길을 가지 못하는 세대가 지금 이 세대가 아닐까?" 코스타 2008 주제문의 일부이다. 축적된 부와 다양해진 기회 속에서 더 황폐해진 우리를 발견하는 것은 어떤 근본 문제에 대한 의문이 우리에게 아직 해결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코스타는 그 해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 코스탄들은 그 해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인가. 우리는 이번 코스타 주제문의 문제의식에 깊이 공감하며 준비위원회의 방향제시에 지지를 보낸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 더보기
[코스타 보이스 - 2008 기획기사] 하나님 나라 예수님의 비전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른 동네들에서도 하나님의 나라 복음을 전하여야 하리니 나는 이 일을 위해 보내심을 받았노라 하시고 갈릴리 여러 회당에서 전도하시더라." (눅 4:43-44) 이처럼 하나님 나라는 예수님의 사역의 시작이었을 뿐 아니라 사역의 가장 중요한 주제였다. 그것은 하나님 나라 또는 하늘 나라가 예수님의 말씀을 직접 기록한 사복음서에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성경본문이 보여주듯이 '하나님 나라'는 그리스도인들의 믿음의 중심인 예수님의 중요한 비전이었다. 자신이 갖고 있던 비전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인 하나님 나라에 대해 예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셨을까? 이번 칼럼은 예수님의 설교, 예수님의 기도문, 예수님의 비유, 이 세 가지를 살펴보아 예수님이 기대하셨던 비전을 .. 더보기
[코스타 보이스 - 2008 서평]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번 코스타의 주제인 '하나님의 나라'는 많은 그리스도인의 탐구의 대상이었다.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견해 중 예수님이 원래 의도했던 바는 무엇일까. 다음의 책을 참고해 보자. Donald B. Kraybill, , Herald Press, June 2003 Kraybill에 따르면 하나님 나라의 성격을 표시하는 가장 좋은 단어는 거꾸로(upside down)이다. 세상의 질서와 반대되는 것, 세상의 질서를 거스르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질서의 특징이다. 그분은 힘을 이용한 정치, 군사력을 거부하였고 (Chapter 2. Mountain Politics), 위엄과 상징을 지닌 종교적인 권위를 부인하셨고 (Chapter 3. Temple Piety), 물질과 경제력으로 인.. 더보기
[코스타 보이스 - 2008 기획기사]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믿음은 기독교의 핵심을 차지하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코스타 보이스는 이번 코스타의 주제인 하나님 나라에 대해서 검토하는 기획기사를 마련하였다. 이번 기획기사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1) 하나님 나라, 예수님의 비전 (2)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예수님의 모범 - 십자가 (3) 예수님의 부활과 하나님 나라 (4) 교회,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 (5) 하나님 나라의 우주적 주권 - 하나님 나라와 악의 문제 더보기
[코스타 보이스 - 2008 서평] 소개 코스타 보이스는 미주 한인 청년 학생들이 고민할 만한 주제에 대한 서평을 기획했습니다. 매일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신앙의 가이드가 될만한 양서를 소개하고 간단한 비평을 하겠습니다. 시리즈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교회, 공동체, 소그룹 (3) 이성교제, 결혼, 가정 (4) 세계관, 윤리, 진로, 직업 (5) 영화평 더보기
[세미나] "하나님의 나라란", 한철호 목사 2007 다음은 2007 KOSTA/USA Chicago conference에서 선교한국 상임총무인 한철호 목사의 '하나님 나라란?'이란 세미나를 eKOSTA 편집부에서 녹취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 선교한국의 상임총무로 일하고 있는 한철호입니다. 하나님 나라는 성경에서 말하고 있듯이 가장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의와 의미가 무엇인가 잘 이해하고 있으면 강의를 들을 때 정확한 이해와 적용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난 주에 디즈니랜드에 다녀왔습니다. 각 나라가 모형으로 되어 있는 곳에 갔습니다. 이런 세상에서 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과연 이런 세상에서 살 수 있을까, 그런 세상이 있을까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인간의 역사는 그런 세상을 추구해.. 더보기
코스탄 출신의 강사 - 팽동국 교수 간략하게 자기 소개를 해주시겠습니까? 저는 제주대학교 해양대학과 의공학협동과정에서 수중음향과 의료용초음파를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습니다. 올해 7월부터 해외장기연수로 1년동안 미국 남가주대학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의공학과와 Doheny Eye Institute에서 40 MHz 이상의 고주파 초음파를 이용해서 안과관련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1995년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의 해양공학과(Ocean Engineering)로 유학을 와서 수중음향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으로 옮겨서 2002년에 의료용 초음파 분야로 음향학 박사를 받았습니다. 남가주 대학에서 1년동안 research associate으로 있다.. 더보기
기독교 세계관 - 손봉호 교수 본 기사는 2002 KOSTA/USA에서 '기독교 세계관'을 주제로 강의한 손봉호 교수의 세미나를 eKOSTA 편집부에서 녹취한 것이다. 세계관이란 말을 자주 들어보시지는 않았을 겁니다. 세계관은 분명한 개념이 있는게 아닙니다. 19세기 독일철학가들이 철학의 일부로 이야기한 일이 있습니다. 기독교 철학자 도이벨트라는 사람이 세계관 이야기를 조금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일반화된 신학적, 철학적 개념은 아닙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도록 합시다. 월드컵에 대해서 온 사회가 열광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여기에 조금이라도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은 모두 기독교인입니다. 뉴스앤조이라는 온라인 신문 인터뷰에 월드컵에 대해 비판을 했습니다. 월드컵이 너무 상업적이고 스포츠정신에 근본적으로 어긋난다. 혼자만의 생각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