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타 사역

"교회" - 김두화 목사 이 세미나는 2002 KOSTA/USA에서 뉴저지 지구촌교회 김두화 목사의 '기독입문 - 교회'를 eKOSTA 편집부에서 녹취한 것입니다. 우리 삶의 현장으로 돌아가면 무엇보다 신앙의 공동체인 교회생활에서 실질적인 삶에 부딪칩니다. 왜 교회생활이 그처럼 중요한 것인지 생각하려고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고 거듭난 크리스챤은 하나의 공동체가 되었으며 그것은 교회이며 한 가족이고 더 이상 손이 아니고 외인도 아니라는 말입니다. 내가 이런 삶을 살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교회관이 정립되어 있어야 합니다. 교회란 무엇인가 하는 것입니다. 교회생활이 왜 중요한가, 어떻게 하면 건강한 교회생활을 할 수 있다는 말인가. 이런 교회생활 때문에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먼저 .. 더보기
영원한 청년 박수웅 장로 2007 KOSTA/USA가 열린 Wheaton College의 7월. 그 어느 강사보다도 젊은 열기로 강의하시는, ‘영원한 청년’ 박수웅 장로님을 eKOSTA가 만나 보았습니다. eKOSTA 안녕하세요, 장로님, 이렇게 이코스타 인터뷰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 드리고 직접 만나뵙게 되어서 너무 반갑습니다. 장로님, 제가 알기로는 코스타와 자마 집회에서 활동이 많으신 것으로 아는데요, 우선 자신의 소개를 부탁드릴께요. 박수웅 저는 미국에 온지 33년이 되었고 결혼한지는 38년이 되었습니다. 현재 3남매의 아버지 역할을 하고 있고 미국에서 마취과 의사로 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마취과 의사는 하나의 부업이고 개인적으로 소원 혹은 비전이 있다면 마취과 의사로써 복음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특히 젋은이들에게 전하고.. 더보기
[김주혜] ’06 gpKOSTA-MO를 마친후 2006 Kosta에 오르던 나의 마음은 가볍지 않았다. 내가 다니는 캔사스 선교교회에는 담임목사님이 계시지 않은지 이미 8개월이 지난 상태였고, 청년부도 그와 동시에 와해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코스타에 대한 준비와 기도보다는 담임목사님의 청빙과 청년부의 부흥에 대한 염려뿐이었다. 코스타에 참석하는 동안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마음은 내가 먼저 지역과 교회를 섬기는 화해자가 되라는 것이었다. 엑스포 기간에 늘 지나치던 gpKosta 사역팀 보드앞에 서게 되었고, 우리 Missouri 지역에도 하나님의 마음에 순종하는 그리고 그분의 마음에 합한 리더들이 세워지길 소원하는 마음으로 조심스레 압정을 꽂게 되었다. 코 스타 끝무렵에는 안고왔던 두가지 염려를 중보기도팀에 기도제목으로 올려드리고 다시 지역으로 돌아오.. 더보기
기독교 신앙과 지성, 그리고 학문하는 삶 2-장성준 이 글은 2006년 미주 코스타 장성준 교수의 '기독교 지성' 세미나를 녹취한 것입니다. 장성준 교수: 미국 올바니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현재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의 사회학과 부교수로 있다. 지금까지 25여편의 논문을 미국사회학, 범죄학, 사회복지학, 그리고 심리학 학술지에 발표하였으며, 현재 미국전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성(spirituality)과 영적변화(spiritual transformation)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미국 대학생선교회 (Campus Crusade for Christ)의 Christian Leadership Ministries로 부터 2002년도 Erick Nilson Achievement Awar.. 더보기
한국 IVF 대표 김중안 목사와의 만남 2006년 7월 Wheaton College에서의 KOSTA/USA에서, 우리는 자그마한 체구의 반가운 얼굴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김중안 목사. 오랜 만에 코스타를 찾아온 선배를 만나는 마음으로 김중안 목사와의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한국 IVF 캠퍼스 간사/ 선교부 디렉터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졸업 미국 코스타 중서부 지역 순회 간사 유학생 사역 (KABF - Iowa City / ISM - IVF US) 현 한국 기독학생회 (IVF) 대표 / 하.나.의. 교회 협동목사 KOSTA간사. 1989 년 졸업하고 93년까지 한국 IVF간사로 일했습니다. 3년은 캠퍼스간사를 했었고 2년은 선교부 간사로 일했었습니다. 주말에는 구로공단에서 외국인 노동자 사역을 했습니다.. 더보기
기독교 신앙과 지성, 그리고 학문하는 삶 1-장성준 이 글은 2006년 미주 코스타 장성준 교수의 '기독교 지성' 세미나를 녹취한 것입니다. 장성준 교수: 미국 올바니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현재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의 사회학과 부교수로 있다. 지금까지 25여편의 논문을 미국사회학, 범죄학, 사회복지학, 그리고 심리학 학술지에 발표하였으며, 현재 미국전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성(spirituality)과 영적변화(spiritual transformation)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미국 대학생선교회 (Campus Crusade for Christ)의 Christian Leadership Ministries로 부터 2002년도 Erick Nilson Achievement Awar.. 더보기
복음이란 무엇인가 - 김원기 목사 본 세미나는 김원기 목사가 KOSTA/USA 2002에서 복음 입문을 강의한 내용을 녹취한 것입니다. 성경의 말씀도 살펴보고 개인적으로 복음이 어떤 영향을 미쳤나, 내 삶에 어떤 작용을 했는가 간증도 하도록 하겠습니다. Gospel이 헬라어에서 나왔는데, 좋은 소식이라는 뜻입니다. 좋은 소식이 나에게 어떤 상관이 있는가? What does Gospel mean to me? 아무리 좋은 사상, 이론이라고 해도 그것이 나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가 중요한 것입니다. 고린도전서 1장 18절입니다.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얻은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는 것입니다. 기독교에서 복음은 십자가의 도이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The message of Cross입니다. 1세기에 십자가.. 더보기
김홍덕 목사와의 인터뷰 eKOSTA는 KOSTA/USA 2006에서 '크리스찬의 사회에 대한 시대적 사명: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를 진행한 김홍덕 목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김홍덕 Westminster Seminary (Philadelphia, M.Div)와 Reformed Seminary (Mississippi, Th.M/Ph.D)에서 신학훈련을 받았으며 장애선교신학부분으로는 세계최초로 Ph.D 를 취득하였다. 사랑하는 딸 조이(Joy)가 다운증후군의 장애를 가지고 태어남으로서 새로운 사역의 지평이 열리게 되었다. 지금은 조이장애선교센타(로스앤젤레스)의 대표로 섬기고 있으며 제3세계 장애인들에게 삶과 영적인 보금자리를 마련해 주는 "House of Joy" Project를 전개 중에 있다. 저서로는 "애덤킹 희망을 던.. 더보기
복음주의란 무엇인가?-양희송 (이 글은 2004년 KOSTA/USA에서 양희송 실장의 ‘복음이란 무엇인가?’라는 세미나를 편집부에서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1. 복음주의 개관 (1) 복음주의 용어정리 흔히 사용되는 복음주의라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부터 정리해 보자. 우선 evangelicalism과 evangelism의 사용이 구분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각 단어의 어원을 살펴보자. ‘복음을 전하다’는 의미 evangelize에는 두 가지 명사형이 있는데, 각각을 살펴보면, Evangelism : 이것은 ‘주의(-ism)’이라가 보다는 그냥 evangelize(복음을 전하다)의 명사형이다. Evangelization: 복음화. 단순한 개인전도의 의미를 넘어서 복음의 영향력을 미친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 두 단어의 구분은 74년도 .. 더보기
복음주의 기독 학생 운동의 역사와 비전-김경수 (본 글은 2000년 KOSTA/USA 김경수 목사의 세미나를 정리한 것입니다.) 이 강의는 ‘복음주의’, ‘학생운동’, ‘한국사회’라는 무거운 주제를 복음주의라는 연결고리 가운데 다루고자 한다. 대학의 위기 에리히 프롬은 그의 저서 ‘건전한 사회’에서 ‘한 사회가 건강한가는 “학교”, “교회”, “법원”을 보면 알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현재의 한국을 돌아보면, 이 세가지 모두 좋지 않은 상황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한국의 대학의 상황은 더욱 문제가 있는데, 그 예로 서울대의 위상이 이웃 나라인 일본이나 중국의 대학들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점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한국의 대학의 현 상황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3가지를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싶다. 대학생 스스로의 정체.. 더보기